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6 HBM (High Bandwidth Memory)이란 무엇인가? HBM (High Bandwidth Memory)이란 무엇인가? 1. HBM이란? 1) HBM이 무엇인가? HBM(High Bandwidth Memory)은 고대역폭 메모리를 의미합니다. 3D 스택 메모리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기존의 DRAM보다 훨씬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메모리 기술입니다. HBM은 여러 개의 DRAM 다이를 한 개의 패키지 위에 쌓고, 이들을 고속의 '숏컷' 연결로 연결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HBM은 기존 메모리 기술에 비해 훨씬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대역폭을 제공하면서도 작은 폼 팩터를 유지합니다. 이 기술은 주로 고성능 컴퓨팅, AI, 서버, 네트워킹, 그래픽 등에서 사용되며, 더욱 빠른 데이터.. 2024. 1. 22. 사물인터넷(IoT)와 스마트 홈 Part3. 사물인터넷(IoT)와 스마트 홈 Part3. 4. 스마트홈을 위한 자동화 및 최적화 스마트 홈을 위한 자동화는 일상 생활에서의 편리함을 극대화합니다. 조명, 난방, 보안 시스템 등을 자동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또한, 에너지 절약을 위한 스마트 기기 설정 방법과 사용자의 습관에 맞춘 자동화 시나리오를 만드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 1) 자동화를 통한 생활 편의성 증진 방법 스마트홈 자동화는 조명, 온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등을 사용자의 생활 패턴에 맞춰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일상 생활의 편리함을 높여줍니다. 예를 들어, 집에 도착했을 때 조명이 켜지고, 잠자리에 들 때는 보안 시스템이 활성화되며, 아침에 일어날 때는 커피 메이커가 작동하는 등의 자동화된 시나리오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조.. 2024. 1. 19. 사물인터넷(IoT)와 스마트 홈 Part2. 사물인터넷(IoT)와 스마트 홈 Part2. 3. 스마트 홈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IoT 기기들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은 더욱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스마트 홈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는 사용자가 가장 우려하는 부분 중 하나죠. 이번에는 IoT 기기들의 보안 취약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IoT 기기의 보안 취약점과 해결 방안 IoT 기기의 보안 취약점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다음은 IoT 기기의 주요 보안 취약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입니다. a. 보안 취약점 -약한 기본 설정: 많은 IoT 기기들이 공장 출하 시 약한 기본 비밀번호를 사용하고 이를 변경하도록 유도하지 않습니다. -업데이트 미흡: 보안 패.. 2024. 1. 18. 사물인터넷(IoT)와 스마트 홈 Part1. 사물인터넷(IoT)와 스마트 홈 Part1. 1. IoT와 스마트 홈 입문 1) IoT 기술의 기본 개념 설명 IoT, 즉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은 물리적인 사물들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받게 하는 기술입니다. 이런 기술은 일상 생활 속의 다양한 기기나 시스템을 서로 연결시키고, 중앙화된 플랫폼을 통해 관리할 수 있게 해줍니다. IoT 기술의 핵심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기본 개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연결성(Connectivity) IoT 기기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됩니다. Wi-Fi, 블루투스, 셀룰러 네트워크, LPWAN(Low-Power Wide-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센싱(Sensing) 센.. 2024. 1. 17.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반응형